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미국 하버드 대학교의 역사, 노벨상 수상자, 장단점

by 실버블랙 2023. 4. 24.
반응형

파란 장미

첫 번째 시간에서 만났던 대학에 이어 이번에는 한국 사람들에게 가장 익숙하기도 한 대학인 미국 하버드 대학교의 역사, 노벨상 수상자, 장단점 등을 알아보겠다.

1. 미국 하버드 대학교의 역사

미국 하버드 대학교는 매사추세츠주 식민지 일반의회가 대학교 설립을 결정하여 케임브리지에 설립된 사립대학교로, 1936년에 설립되어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이다. 해당 대학교는 학부 과정인 하버드 칼리지와 의학, 법학, 경영학 등의 전문 지식을 다루는 전문 대학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학교의 첫 시작에서의 중요한 점은 시민 리더십과 종교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초기에 신학대학과 명예 단과 대학 부속 교회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추후 고전적인 방식으로 학생들의 학문에 대한 열정 및 창의성을 개발할 수 있게 지도히였다. 학생들에게 최신 기술 및 연구 분야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취업과 진로 계발에 도움을 제공한다.그리하여 노벨상 수상자, 미국 대통령, 억만장자 등 많은 유명인사를 배출하고 전문 지식에 대한 탐구 및 연구 결과가 좋음에 따라 세계적인 권위와 명성을 자랑한다. 1936년 설립 이후 1938년에 존 하버드 목사가 책과 재산을 기증하게 되어 1639년 그의 이름을 따 하버드 칼리지라고 이름이 수정되었다. 또한 1650년에 하버드 칼리지의 헌장이 수립되었고, 1782년부터 1936년까지 여러 전문대학이 설립되어 종합대학교가 되었다. 이 사이 1869년부터 1909년까지 대학교 총장을 지낸 찰스 윌리엄 엘리엇 총장이 근대 연구대학으로 변모시키기 위해 노력하여 이를 성공하였다. 이후 1977년에 래드클리프 칼리지와 통합되어 여성도 하버드 학위를 받을 수 있게 변화되었다. 이어 2022년 US 뉴스에서 발표된 미국 대표 대학 순위에서 2위를 차지하였다.

 

2. 노벨상 수상자

세계에서 가장 많은 157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였다. 가장 최근에 수상한 사람은 2019년 경제학상을 받은 마이클 크레머이고, 가장 오래전에 수상한 사람은 1914년 물리학상을 받은 맥스 폰 라우에이다. 대표적인 노벨상 수상자를 일부 소개하겠다. 2022년 경제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 미첼 페터슨은 해당 대학 콜럼비아 비즈니스 스쿨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학생이다. 우리에게 친숙한 알버트 아인슈타인은 학교 내에서 초물리학을 연구하여 물리학 분야 노벨상을 수상하였다. 2018년 화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는 대학 내에서 화학 연구를 진행한 조지 스미스, 2006년 생물학 노벨상 수상자 앤드루 파이어버그, 1996년 물리학 노벨상 수상자 데이비드 리히, 1958년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조지 베이들과 조슈아 레더버그, 1965년 물리학상 수상자 리차드 파인만, 2005년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바리 마샬, 2017년 생리학/의학상 마이클 로스바쉬와 마이클 페프러, 1962년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제임스 왓슨, 1954년 생리학/의학상 수상자 제임스 왓슨 등이 있다. 해당 대학 출신 노벨상 수상자 중 가장 많이 수상한 분야는 생리학, 의학상으로 43명이 수상했으며 미국의 의료시스템에 대하여 유학을 자주 가는 이유 중 하나로 뽑힌다. 그러나 아직 하버드 대학 출신 노벨상 수상자 중 한국인은 없는 것으로 확인된다.

 

3. 장단점

대학교의 장점으로는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존경받는 대학으로써 학업의 우수성과 프레스티지를 제공하며, 다양한 분야의 저명한 교수진과 연구자들로부터 배우고 협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는다. 또한 많은 유명인사를 배출한 덕에 비즈니스, 정치, 학계 등에서 영향력 있는 동문 네트워크를 통해 인턴쉽, 취업, 전문적인 인맥 등을 얻을 수 있다. 모든 배경의 학생들이 교육에 접근할 수 있도록 관대한 재정 지원을 아끼지 않으며 다양한 학생 단체, 문화 행사, 스포츠 팀 등을 통해 캠퍼스 생활을 즐길 수 있다. 대학교의 단점은 입학 경쟁이 매우 치열하여 지원하는 것이 어렵고 합격이 불확실하다. 재정 지원이 많은 만큼 학비와 기타 비용이 매우 높아 재정적 부담이 클 수 있으며, 학업적으로 엄격하고 높은 분위기의 학구열로 학생이 스트레스를 받거나 적응하기 어려울 수 있다. 학교 자체가 오래되고 크고 다양한 대학이라 개인적인 관심이나 지원을 받기 어려울 수 있고, 명성이 너무 높아 기대치나 성공에 대한 압박을 느낄 수 있다.

반응형

댓글